요약
MySQL 변천사와 두가지 에디션과 그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.
DBMS 를 선택하는 기준을 정할 수 있었다.
운영체제별 MySQL 서버 설치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.
X Protocol 이 뭔지 이해하지 못했다..
발췌
Q. "어떤 DBMS 를 사용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. 어떤 DBMS 가 좋은가요?"
A. "자기가 가장 잘 활용 할 수 있는 DBMS 가 가장 좋은 DBMS 입니다."
이 질문의 답을 듣고도 아직 고민된다면 다음 순서로 고려하라
- 안정성
- 성능과 기능
- 커뮤니티 혹은 인지도
메모
MySQL 버전
- 5.5 to 5.7
- 안전성과 성능 개선에 집중
- 8.0 ~
- 상용 DBMS 가 가지고 있는 기능들이 장착되기 시작
왜 MySQL ?
- 상용 DBMS 인 오라클 RDBMS 는 너무 비싸다.
- 비용 관점에서 MySQL 은 경쟁력이 있다.
- 최근 10여 년간 컴퓨터 시장이 발전하며 새로운 데이터양이 많아지기 시작함. -> 가격이 저렴한 MySQL 을 안 쓸 이유가 없다.
MySQL 라이선스 정책
두개의 정책이 있음.
- MySQL 엔터프라이즈 에디션
- MySQL 커뮤니티 에디션
5.5 이전 버전에서는 서버의 기능 차이가 아니라 기술 지원의 차이만 있었다. 5.5 이후 부터는 두 에디션의 기능이 달라지면서 소스코드도 달라지고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의 소스코드는 더이상 공개되지 않음.
상용화 전략으로 보면 두 에디션은 모두 동일함. 이러한 상용화 방식을 오픈 코어 모델(Open Core Model)이라고 한다.
MySQL 설치
- MySQL 서버를 기본 설정으로 설치하면 데이터 디렉터리와 로그 파일들을 /usr/local/mysql 디렉터리 하위에 생성하고, 관리자 모드로 MySQL 서버 프로세스를 기동하기 때문에 관리자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 설정이 필요하다.
- /usr/local/mysql 디렉터리 하위의 디렉터리 정보에서 다음 디렉터리는 삭제하면 안된다.
- bin , data, include, lib, share
- MySQL 설치 후, 서버의 각종 디렉터리와 로그 파일들의 경로는 설정돼 있지만 설정 파일이 준비돼 있지 않다. -> 우선 my.cnf 라는 빈 파일을 생성하고 Configuration File 로 해당 파일을 설정 파일로 등록해 둔다. (윈도우에서는 my.ini 를 쓰는 것 같다. 실행 경로도 조금 다르다.)
사용자 로그인
- Strong Password Encryption
- Caching SHA-2 Authentication 플러그인 사용
- 인터넷을 경유하여 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
- Legacy Authentication Method
- Native Authentication 플러그인 사용
- 사설 네트워크 사용
- 테스트 용으로 사용
MySQL 접속 방식
- 지금 설치하는 MySQL 서버는 테스트용이므로 Config Type 을 Development Computer 로 선택한다.
- MySQL 서버가 허용하는 커넥션 개수를 적게 설정하므로 서비스용 MySQL 서버를 설치한다면 그에 맞게 옵션을 변경하자.
- Connectivity 옵션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TCP/IP 를 선택한다.
- Port 는 MySQL 서버의 기본 포트인 3306 을 선택한다.
- X Protocol Port 도 기본 포트인 33060 을 그대로 유지한다.
'Book > Real Mysql 8.0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책너두 (Real MySQL 8.0 1권) 5일차 (~75p) (1) | 2023.01.07 |
---|---|
책너두 (Real MySQL 8.0 1권) 4일차 (~64p) (0) | 2023.01.07 |
책너두 (Real MySQL 8.0 1권) 3일차 (~51p) (0) | 2023.01.06 |
책너두 (Real MySQL 8.0 1권) 2일차 (~35p) (0) | 2023.01.05 |
책너두 (Real MySQL 8.0 1권) 시작 다짐글 (0) | 2023.01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