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현재 기준, 성능이 가장 좋은 SSD 제원을 확인해보면 순차 읽기 속도가 최대 7.5GB/s 임.
- 현재 5세대 DDR 메모리 최대 대역폭은 60GB/s 임.
- 즉, SSD 속도로 비교해보면 SSD 를 메모리로 사용하면 컴퓨터 속도가 현재보다 약 10분의 1 수준으로 느려짐.
- 메모리 읽기/쓰기 vs 디스크 읽기/쓰기
- 메모리의 주소 지정 단위는 바이트임.
- 각 바이트마다 메모리 주소가 부여되어 있음.
- CPU가 이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내용을 직접 접근할 수 있음.
- SSD는 조각 단위로 데이터를 관리함.
- 이 조각 크기는 매우 다양함.
- CPU가 파일의 특정 바이트에 직접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음.
- 즉, 바이트 단위 주소 지정이 지원되지 않음.
- 즉, CPU는 SSD 또는 디스크에서 직접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없음.
- 가상 메모리의 제한
- 32비트 시스템의 최대 주소 지정 범위는 4GB 에 불과함.
- 1TB 크기를 가진 SSD를 메모리로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프로세스는 4GB 이상의 메모리를 사용할 수 없음.
- 물론 64비트 시스템에서는 이런 문제가 없음.
- SSD 사용 수명 문제
- SSD 제조 원리에 따르면 SSD 저장 장치는 사용 수명 제한이 있음.
- SSD 에서 기록 가능한 최대 바이트를 TBW(TeraBytes Written) 라고 함.
- 일반적인 SSD 의 TBW 는 수백 TB 임.
- 만약, SSD 에 기록한 데이터의 누적 크기가 수백 TB 에 달하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.
- CPU는 프로그램 실행 시 대량의 메모리 읽기, 쓰기 작업을 실행하므로 SSD 를 메모리로 사용하면 사용 수명 때문에 시스템에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.
- SSD에 빈번하게 대량의 데이터를 쓸 일이 많지 않으므로 사용 수명이 짧더라도 신경 쓸 필요는 없음.
댓글